모든 언어를 막론하고 공손함은 있습니다. 대화는 상대방을 배려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오늘 포스트에서는 바로 이 공손성이 한국어에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접화행과 공손성 간접 화행과 공손성에 대하여 사람들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생각 또는 의견 또는 사실을 전달할 때 직설적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우회적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성격에 따라 그러는 경우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 그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을 국어학에서는 두 가지로 나누는데 간접 화행과 직접 화행으로 나눕니다. 쉽게 말해 직접 화행은 문장이 사용된 그대로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고 간접 화행은 문장의 의미와는 다른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국어의 문장 유형은 보통 5가지가 있는데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 의..

한국어 선생님이 가장 고민하는 것 중의 하나는 바로, 수업 시간에 배운 여러 어휘들을 효과적으로 연습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고, 학생이 배운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선생님들은 평가 문제를 만들어서 학생들과 풀어보기도 합니다. 그래서 준비한 쪽지 시험 문제지입니다. 평가할 어휘는 다음과 같습니다. 슬프다 기쁘다 외롭다 답답하다 아깝다 모자라다 정이 들다 그립다 속상하다 서운하다 후회되다 간절하다 창피하다 보통 초급 후반에서 이런 어휘들을 공부합니다. 사실 이런 추상 어휘를 가르치는 것이 아주 힘이 듭니다. 학생의 모국어로 일대일로 가르치려니 선생님의 수업 준비가 너무 덜 된 것 같고, 해외에서 가르치는 것이 아니고서는 국내에서 가르칠 때는 학생의 국적이 다 달라서 사전으로..

이 글의 차례 들어가기 높임말 표현 확인문제 문제 더 보기 주의할 점 마지막 문제 높임말은 어떻게 만들까? 한국어 중급 수준 학습자를 위한 높임말 공부 들어가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높임말을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수준은 한국어 중급 수준입니다. 높임말은 한국어를 공부할 때 가장 중요한 문법 중 하나입니다. 천천히 공부해봅시다. 높임말 표현 높임말은 명사와 동사 그리고 형용사가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단어가 높임말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위 사진에 있는 단어가 중급 수준에서 공부하는 높임말입니다. 동사와 형용사는 높임말을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만듭니다. (으)시를 넣어서 만듭니다. 받침이 있으면 으시를 넣고 받침이 없으면 시를 넣습니다. 확인 문제 위 문장에서 높임말은 4개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