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을 쓰기 위해서는 수많은 자료가 필요합니다. 그러면 그런 자료들은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요? 국내에서는 학술자료를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학술자료에 대한 의미와 학술자료를 찾을 수 있는 곳을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논문만큼 중요한 학술자료 학술자료는 논문을 말합니다. 소논문도 학위논문도 그리고 학술서적도 포함이 됩니다. 학술자료는 매우 포괄적인 의미로 우선 논문의 읽을 사람에게 풍부하고도 믿을 만한 근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좋은 학술자료는 공신력, 객관성, 대표성, 출처의 명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런 요건들이 없는 자료는 사실상 학술자료라고 할 수 없습니다. 진짜 자료? 가짜 자료? 여기에서 잠깐 학술자료와 학술자료가 아닌 것을 구분해 보자면 이렇습니다. 인터..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인 토픽 2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부사를 정리해 봤습니다. 예문을 같이 써 봅니다. 공부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가끔 / 종종 빈도부사입니다. 가끔과 종종은 비슷한 말입니다. 예문 나는 가끔 바다에 가요. 나는 종종 산에 가요. 2. 금방 / 금세 늦지 않은 시간이라는 뜻입니다. 조금 전 그리고 조금 후라는 말입니다. A : 언제 밥을 먹었어요? B: 금방 먹었어요. 많은 사람들이 금세를 사용할 때 금새인지 금세인지 헷갈려 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정확한 단어는 금세가 맞습니다. 그리고 금세는 금방과는 조금 다른 뜻입니다. '바로 지금' 또는 '아주 짧은 시간'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토픽 시험에서는 금방 또는 금세가 비슷하게 사용됩니다. 3. 마치 마치..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생이 동사와 형용사를 연습할 수 있는 파일을 만들어 보고 다운로드하여 연습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다운로드해서 연습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언어가 그렇듯이 초급에서는 반드시 직접 써 가면서 하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특히 한국어는 동사와 형용사가 변화하기 때문에 이것을 충분히 연습하여 그 변화를 자연스럽게 쓸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3개의 파일을 공부합니다. 첫 번째는 동사의 변화형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형용사 변화형입니다. 이 파일에는 한국어 초급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만 모아서 이것을 연습할 수 있게 했습니다. 간단하게 사진을 보면서 어떤 단어가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연습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중국어 버..
토픽 시험에는 초급과 중고급이 있는데 중고급 시험에서는 사자성어와 속담이 자주 나옵니다. 그래서 한번 어떤 속담이 나오는지 살펴보았습니다. 1. 그림의 떡 이 속담은 바로 눈 앞에 있지만 만질 수 없고, 가질 수 없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 속에 아무리 좋은 것이 있다고 해도 내 것이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2. 남의 떡이 더 커 보인다. 이 속담에는 약간의 질투라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와 내가 같은 물건을 가지고 있어도 왠지 친구의 물건이 더 좋아 보이는 사람의 심리를 읽어 낸 속담입니다. 3.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돌로 만든 다리는 아주 튼튼합니다. 굳이 만져보지 않아도 알 수 있습니다. 누가 봐도 튼튼해 보이는 돌로 만든 다리라고 할지라도 혹시 모르니까 한번 더 확인을 ..

서울대 한국어 교재를 공부하는 외국인은 아주 많습니다. 그만큼 서울대 한국어 교재가 잘 만들어졌고, 공부하기 좋은 책이라는 증거입니다. 본 포스팅은 교재의 내용을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닌 교재에서 모두 풀어내지 못한 중요한 포인트를 공부해 보는 포스팅입니다. 공부하거나 가르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학습목표 1과에서는 소개와 빈도부사를 공부하는 과입니다. 빈도부사! 한국어 학습 초기에 반드시 공부하고 가야 하는 중요한 표현입니다. 문법과 표현에서는 'N(이)라고 하다', 'V-(으)려고'입니다. 사실 'N(이)라고 하다'이 문법은 간접표현에서 배워야 더 빠른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A에서 배우는 이유는 한국인이 아주 많이 사용하는 편한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한국어 문법은 덩어리로 배..